[영화 리뷰] <싱글 라이더> – 인생은 홀로 떠나는 여행

〈싱글라이더〉충격 스릴러로 기억되는 브루스 윌리스의 〈식스 센스〉는 반전의 묘미를 즐길 수 있는 수작이다.

반전의 목적은 예측 불가능한 전개를 통해 관객의 허를 찌르는 것이다.

예측 가능하다면 반전을 통한 어떤 감동도 불가능하다.

예상 밖의 반전 영화는 확실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영화는 관객의 예상을 비웃고 관객은 순간 충격에 빠진다.

반전영화의 묘미다.

싱글라이더 감독 이주영 출연 이병헌 공효진 안소희 개봉 2017년 02월 22일.

이병헌 주연의 싱글라이더는 반전영화 공식을 충실히 따른다.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는 충격적이다.

영화가 서사를 그려나가는 방식으로 감독의 뛰어난 연출력을 확인할 수 있다.

기러기 아빠 강재훈(이병헌)의 모습은 가장의 고독과 안타까움을 불러일으킨다.

증권사 지점장 강재훈은 부실펀드 사건으로 직장을 잃고 아내와 아들이 있는 호주로 떠난다.

하지만 아내는 현지 호주인과 내밀한 관계를 맺고 사는 모습을 보고 충격에 빠진다.

집 주변에서 아내 모습을 보고 재훈이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 아내와 아들이 사는 집을 배회하며 재훈은 아내에게 다가갈 수 없다.

아내를 돌보는 이웃 호주 남자의 호의를 보고 재훈은 갈등한다.

중년 가장의 안타까운 상황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그에게 가족은 무슨 의미였을까? 애초 재훈의 강권으로 인해 아내와 아들은 호주로 떠났다.

조기교육 명목으로 떠난 가족을 만나러 갔지만 그의 아내 수진(공효진)은 망설이던 호주 생활에 만족하며 완전 이민을 계획한다.

재훈이 느끼는 다층의 감정이 스크린을 통해 전달된다.

예상치 못한 아내 수진의 인생 변화에 대한 재훈의 반응은 안타깝다.

재훈은 우연히 호주에서 워킹홀리데이를 마치고 한국으로 귀국하려는 여학생 지나(안소희)를 만난다.

지나는 같은 한국 청년들에게 속아 2년간 일해 모은 돈을 모두 빼앗기고 길거리에서 재훈을 만난다.

재훈과 지나는 같은 동질의 루저들이다.

영화는 두 사람을 하나의 시선으로 묶는다.

직장을 잃은 재훈과 돈을 빼앗긴 지나, 그 둘은 사회로 돌아갈 수 없는 이방인이다.

재훈과 지나는 서로 정서적 고통 속에서 위로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영화는 재훈의 시선, 재훈의 아내 수진 그리고 지나, 옆집 호주인 아내의 모습을 통해 인생은 영화 제목 ‘싱글라이더’처럼 결국 혼자 여행이라는 점을 부각한다.

함께 있지만 함께 할 수 없는 혼자 걸어야 하는 길이 바로 삶의 길이라는 묵직한 메시지를 던진다.

고통을 견디며 애써 담담한 표정 변화가 없는 재훈 역 이병헌의 모습에서 외로움의 그림자를 보며 시종일관 침착하지 못하고 고통을 외부에 토로하는 지나 역 안소희의 태도에서 안타까움이 전해진다.

재훈의 아내 수진 역 공효진의 얼굴에서는 고독과 불안감이 느껴진다.

영화는 형형색색의 현대인의 모습을 조명하고 있다.

영화는 마지막 반전을 통해 관객에게 충격을 준다.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니라는 <식스센스>급 반전은 전혀 예상치 못했다.

삶에 대해 조금 먼 발자취로 생각하게 하는 ‘싱글라이더’는 현대인의 고독과 정서적 불안을 투영한 영화로 추천된다.

영화는 마지막 반전을 통해 관객에게 충격을 준다.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니라는 <식스센스>급 반전은 전혀 예상치 못했다.

삶에 대해 조금 먼 발자취로 생각하게 하는 ‘싱글라이더’는 현대인의 고독과 정서적 불안을 투영한 영화로 추천된다.

error: Alert: Content selection is disab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