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미국 고혈압 진단 기준 강화 이후에도(130/80) 국내 지침은 18년 이후 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기존 보수적 입장에서 다소 선회했습니다.
** 무증상 장기손상/심뇌혈관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130/80 미만으로 목표(당뇨병이 있는 경우 2개 이상, 없는 경우 3개 이상)

** 무증상 장기손상/심뇌혈관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130/80 미만으로 목표(당뇨병이 있는 경우 2개 이상, 없는 경우 3개 이상)



2017년 미국 고혈압 진단 기준 강화 이후에도(130/80) 국내 지침은 18년 이후 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기존 보수적 입장에서 다소 선회했습니다.
** 무증상 장기손상/심뇌혈관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130/80 미만으로 목표(당뇨병이 있는 경우 2개 이상, 없는 경우 3개 이상)
** 무증상 장기손상/심뇌혈관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130/80 미만으로 목표(당뇨병이 있는 경우 2개 이상, 없는 경우 3개 이상)